Korea
This article was added by the user . TheWorld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the platform.

北 미사일 ‘소나기 발사’ 1주일 만에 방사포 사격… ‘긴장’ 이어가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방사포.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북한이 제7차 핵실험 준비를 사실상 완료한 것으로 알려진 상황에서 ‘저강도’ 무력시위 카드를 꺼내들었다. 이에 따라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도 지속되고 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12일 오전 8시7분쯤부터 11시3분쯤까지 방사포(다연장로켓포) 추정 발사체 여러 발을 쐈다. 지난 5일 평양 순안 일대 등 4곳에서 총 8발의 단거리탄도미사일을 동시다발적으로 쏜 뒤 1주일 만에 재개된 무력시위다.

군 당국은 북한이 이날 쏜 방사포탄의 수를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았으나 5발 가량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발사 장소는 서해안 일대, 탄착 지점은 서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은 통상 북한으로부터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가 발사됐을 때 그 사실을 언론에 즉각 공지한다. 그러나 북한의 이날 방사포 발사와 관련해선 이 같은 과정이 없었다. 대신 합참은 오후 늦게 언론의 관련 문의가 잇따르자 발사 시각 등을 일부 공개했다.

이는 군 당국이 탐지한 북한 방사포탄의 비행거리·고도 등 제원이 단거리탄도미사일(SRBM)로 분류되는 초대형방사포(KN-25) 등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군 당국은 지난 3월20일 북한이 평안남도 숙천 일대에서 약 4발의 방사포탄이 서해상을 향해 쐈을 때도 이를 즉각 공개하지 않은 사례가 있다. 군 소식통은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쏜 경우가 아닐 땐 일일이 공개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그러나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도발에 따른 불안과 긴장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군 당국이 10시간 넘게 이번 방사포 사격 관련 사항을 공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늦장 대처’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군 당국은 북한의 이날 방사포 사격이 북한군의 하계훈련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군의 하계훈련은 통상 7~8월 실시된다.

이날 방사포 사격을 포함, 북한의 올해 무력도발 횟수는 총 19회로 늘었다. 이는 과거 같은 기간 대비 최다 횟수다. 특히 북한은 올 들어 2017년 11월 이후 중단했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도 6차례(추진체 개발 시험 포함)나 실시했다.

게다가 북한은 현재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제7차 핵실험을 위한 준비 작업도 사실상 마무리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상황이다. 북한은 2017년 9월 6차 핵실험을 끝으로 핵실험을 중단하고 2018년 5월엔 풍계리 핵실험장 내 지하 갱도를 폭파하기까지 했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북한이 이날 방사포 사격에 이어 조만간 ICBM 발사나 핵실험과 같은 ‘대형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북한은 올 3월에도 방사포 사격 나흘 뒤(3월24일) ICBM 시험발사를 실시한 적이 있다. 당시 북한은 신형 ICBM ‘화성-17형’ 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했으나,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이 공개한 ICBM 발사 당시 영상 분석결과 등을 근거로 북한이 기존 ‘화성-15형’ ICBM을 쏜 것으로 판단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의 이번 방사포 사격은 우리나라와 미국·일본 정부가 싱가포르에서 열린 국방장관 회담을 통해 미사일 경보 훈련 및 탄도미사일 탐지·추적 훈련 등의 재개에 합의한 지 하루 만에 이뤄졌다는 점에서 그 ‘반발’ 성격이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북한의 이달 5일 단거리탄도미사일 도발도 앞서 3일 서울에서 한미일 북핵수석대표 협의에 이어 2~4일 한미 해군 간 연합훈련이 실시됐다는 소식이 전해진 뒤 이뤄졌다.

또 북한은 이달 8~10일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주재로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 확대회의를 열어 ‘국가 방위력 강화’ 기조를 재확인하는 한편, “대적투쟁과 대외사업부문에서 견지해야 할 원칙들과 전략 전술적 방향들”을 천명했다.

북한의 이 같은 전원회의 결론을 두고 전문가들 사이에선 향후 대남사업 기조를 ‘대적사업’으로 전환한 것이란 등의 분석이 제시되고 있다.

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따르면 김 총비서는 특히 이번 회의에서 “자위권은 곧 국권 수호 문제”라며 “우리(북한)의 국권을 수호하는 데서는 한 치도 양보하지 않을 우리 당의 강 대 강, 정면승부의 투쟁원칙” 또한 거듭 밝혔다.

대북 관측통은 북한의 이번 방사포 발사와 관련해 “일단 한미 당국의 감시·정찰자산에 포착될 수 있는 수준의 무력시위를 벌임으로써 긴장을 계속 유지해가려는 의도인 것 같다”며 “핵실험 가능성 또한 여전히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고 전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