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산부인과 신생아실. 한겨레 자료사진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0.84명까지 떨어져 또다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결혼이 크게 줄면서 출생아 감소 추세는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를 보면, 지난해 합계출산율(가임여성 1명이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출생아 수)은 0.84명으로, 2019년 0.92명보다 0.08명 감소했다. 합계출산율은 2018년 0.98명으로 처음 1명 밑으로 떨어졌고, 2019년엔 0.92명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0.9명대도 깨졌다. 특히 지난해 4분기 합계출산율은 0.75명으로, 0.8명대 아래로도 내려가는 등 출생아 감소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합계출산율 1명이 넘는 지역은 세종(1.28명), 전남(1.15명), 강원(1.04명), 충남(1.03명), 제주(1.02명), 경북(1.01명) 등 6곳이다. 서울(0.64명), 부산(0.75명) 등 대도시는 젊은층과 미혼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아 출산율이 낮았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18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7개국 가운데 한국이 0.98명으로 가장 낮으며, 회원국 평균은 1.63명이다. 지난해 출생아는 27만2410명으로 지난해(30만2676명)보다 10% 감소했다. 사상 처음으로 30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2017년 처음 30만명대에 진입한 뒤 불과 3년 만에 20만명대로 내려간 것이다. 월별로는 61개월 연속 감소를 기록 중이다. 지난해 사망자는 출생아보다 3만2718명 많은 30만5127명으로, 출생아가 사망자보다 적은 인구 자연감소(데드크로스)가 처음 발생했다. 월별로는 2019년 11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14개월째 진행 중이다. 김수영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지난해는 코로나19로 혼인이 많이 감소한 상태에서 출생아 수가 조금 더 감소할 여지가 있고, 인구 고령화로 사망자 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자연감소는 조금 더 가팔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결혼 건수는 21만3513건으로, 전년 대비 10.7% 감소했다. 감소율도 1981년 이후 역대 최저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