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This article was added by the user . TheWorld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the platform.

게잡이 통발에 등불 켰더니 벌어진 일

[애니멀피플]
‘친환경 어업’ 위해 등불로 게·랍스터 유인 실험
게·랍스터 대신 참가리비 줄줄이 그물안 ‘점프’
해저생태계 망치는 바닥긁는 어획 대안으로 주목

엘이디 등을 단 통발 안으로 들어오는 참가리비 모습. 가리비가 이동성이 뛰어난 것은 알려졌지만 왜 불빛으로 꼬이는지 이유는 불확실하다. 피시테크 마린 동영상 갈무리.

엘이디 등을 단 통발 안으로 들어오는 참가리비 모습. 가리비가 이동성이 뛰어난 것은 알려졌지만 왜 불빛으로 꼬이는지 이유는 불확실하다. 피시테크 마린 동영상 갈무리.

친환경 어업기술을 개발하는 영국의 한 기업은 해저 생태계를 망치는 저인망 대신 통발에 엘이디 등을 켜면 값비싼 게나 랍스터를 유인해 잡을 수 있지 않을까 궁금했다. 어민에게 시험을 요청한 뒤 받은 결과는 실망스러웠다. 등불을 켜나 안 켜나 게와 랍스터 어획량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어민은 “전에는 일 년 동안 통발에 들어오는 가리비가 한두 마리였는데 등불을 켜니 수십 마리나 들어왔다”고 말했다. 피시테크 마린의 과학자 로버트 에네버 박사 등이 등불을 켜 참가리비(큰가리비)를 어획할 수 있는지 현장시험에 나선 계기였다.
시험조업에 쓴 엘이디 등이 달린 통발. AA형 배터리 2개를 장착하면 5∼10년 동안 쓸 수 있다. 피시테크 마린 제공.

시험조업에 쓴 엘이디 등이 달린 통발. AA형 배터리 2개를 장착하면 5∼10년 동안 쓸 수 있다. 피시테크 마린 제공.

결과는 놀라웠다. 알려진 가리비 어장이 아닌 곳에 석 달 동안 1886개의 통발을 놓았다. 엘이디 등을 켠 985개의 통발에는 518마리의 참가리비가 들었지만 등불을 켜지 않은 901개의 통발에는 2마리가 잡혔을 뿐이다. 통발에 들어온 가리비의 99.6%가 등불을 택했다.

‘귀’가 달린 패각의 형태가 독특한 가리비는 바닥에 박혀있지 않고 종종 돌아다닌다. 성게 등 포식자가 오면 두 패각을 열었다 갑자기 닫으며 뛰어오르고 패각을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흡입한 물을 뒤로 뿜어내면서 제법 먼 거리를 ‘헤엄쳐’ 이동하기도 한다. 이번 시험에서도 연구자들은 참가리비가 엘이디 등불이 켜진 통발로 다가와 안으로 줄지어 뛰어드는 모습을 관찰했다. 에네버 박사는 “처음 통발을 끌어올리고 그 속에 가리비가 잔뜩 들어있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며 “등불이 켜지지 않은 곳에는 가리비가 거의 없었지만 등불을 켠 통발에는 최고 24마리까지 들었다”고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패각에 ‘귀’가 달린 가리비의 모습. 참가리비는 폭 21㎝까지 자란다. 맨 프레드 하이드,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패각에 ‘귀’가 달린 가리비의 모습. 참가리비는 폭 21㎝까지 자란다. 맨 프레드 하이드,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가리비는 왜 등불에 몰려들까. 연구자들은 “정확한 메커니즘은 모르지만 가리비의 시각 자극 때문으로 보인다”고 과학저널 ‘어업 연구’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밝혔다. 가리비는 조개 가운데서도 시력이 뛰어난 편이다. 패각 밖으로 드러난 외투막 가장자리를 빙 둘러 최고 200개가량의 좁쌀만 한 작은 눈이 달려 있다. 렌즈 대신 거울이 달린 이들 눈으로 물체의 움직임과 빛 강도의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해 먹이가 많은 곳으로 가거나 포식자를 회피한다.
가리비의 눈. 외투막에 좁쌀처럼 작은 눈이 수십∼수십 개 나 먹이와 천적을 감지한다. 매슈 커민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가리비의 눈. 외투막에 좁쌀처럼 작은 눈이 수십∼수십 개 나 먹이와 천적을 감지한다. 매슈 커민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연구자들은 “통발에 등불을 밝히면 불을 따라 (플랑크톤 등) 생물활동이 활발해지기 때문에 가리비가 먹이터를 향해 이동해 왔을 것으로 추정한다”며 “폭풍이 닥쳐 물이 탁해졌을 때 가리비가 덜 잡힌다는 시험에 참여한 어민의 증언도 시력 가설을 뒷받침한다”고 논문에 적었다. 그러나 “등불을 밝힌 통발에 딱총새우가 많이 잡힌 데 비춰 딱총새우가 내는 큰 소리에 기절한 동물플랑크톤 먹이를 찾아 왔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의 참가리비 양식 모습. 활가리비는 주로 일본 홋카이도에서 수입한다.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우리나라의 참가리비 양식 모습. 활가리비는 주로 일본 홋카이도에서 수입한다.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참가리비는 영국 등 대서양 국가의 주요 어획 대상이며 주로 바닥을 긁어 자루에 담는 형망 어업으로 잡는다. 이 어획 방법은 해저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주어 문제가 돼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참가리비와 해만가리비를 주로 양식하며 수입산 참가리비는 대부분 일본 홋카이도 산이다. 연구자들은 “등불을 이용한 새로운 통발이 환경파괴를 줄이기는 하겠지만 무분별한 남획을 막기 위한 관리도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인용 논문: Fisheries Research, DOI: 10.1016/j.fishres.2022.106334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