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This article was added by the user . TheWorld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the platform.

주가 좀 오를만하면 ‘블록딜 폭탄’… 개미들 날벼락

뉴시스

카카오페이 삼성전자 우리금융지주 대형주들이 잇달아 블록딜(장외 대량매매)에 휘청이고 있다. 블록딜은 주식 대량 보유자가 매수자를 미리 구해 장이 끝난 뒤 지분을 넘기는 거래를 말한다. 매매 뒤 사후 공시가 이뤄지고 주가는 하락하는 경우가 많아 소액 주주는 영문도 모르고 손실을 보게 된다. 일각에서는 블록딜 계획을 사전 공시토록 강제하는 등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법이 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롯데칠성을 보유한 호텔롯데는 지분 20만주(약 370억원)에 대한 블록딜을 추진 중이다.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며 이날 롯데칠성은 전날 대비 4.10%(8000원) 내린 18만7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8일에는 카카오페이 2대 주주인 알리페이싱가포르홀딩이 지분 500만주(약 4700억원)를 블록딜로 매각했다고 공시했다. 카카오페이 전체 주식의 3.77%에 달하는 물량이 시장에 쏟아지며 주가는 당일에만 15.57% 폭락했다.

시총 규모가 더 큰 대형주도 블록딜이 일어나면 주가가 크게 출렁인다. 삼성전자 주식은 지난 3월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장이 상속세 마련을 위해 1994만1860주(약 1조3700억원)를 블록딜로 처분한 뒤 하향 조정됐다. 우리금융지주 주식은 IMF 금융위기 당시 투입된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예금보험공사가 반복적으로 블록딜을 시행하면서 횡보하고 있다.

대부분 블록딜이 시가보다 낮은 할인가에 거래가 이뤄진다는 점도 주가 하락을 가속하는 요인이다. 카카오페이는 할인율이 전날 종가의 11.8%여서 다음 날 주가의 낙폭이 더 컸다. 대량 보유자들의 거래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개인 투자자들이 안게 된다.


문제는 현행법으로는 ‘깜깜이’ 블록딜로 인한 소액주주 피해를 막을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블록딜 자체는 주주가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므로 문제 삼기 어렵다.

정치권에서는 사전공시제도를 검토하고 있지만 효과가 있을지 미지수다.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4월 주권상장법인이 블록딜 등 주식 대량매도시 사전신고를 하도록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 주요주주가 발행주식 총수의 1% 이상 주식을 블록딜 등으로 매각할 경우 한국거래소 등 관계부처에 신고토록 강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신고일로부터 3개월까지는 매도가 제한된다.

정의정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 대표는 “블록딜 사전공시제도는 기관과 개미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비대칭성을 해소해준다는 점에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며 “블록딜로 인한 주가 하락이 과도하다고 판단될 경우 1계약당 체결 규모를 일정 수준으로 제한하는 등 방법도 검토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다만 블록딜 사전공시 뒤 실제 계약을 체결한다고 해도 그사이 블록딜 영향이 모두 반영될 수 있다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개미들이 현재보다는 대응할 수 있는 카드가 늘어나겠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닌 셈이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국민일보 신문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