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과 일본을 오가는 국제여객선사들이 일본 여행 보이콧 이른바 ‘노 재팬(No Japan)’ 불매운동에 이어 코로나19 사태 직격탄을 맞으면서 줄도산 위기에 처했다.
4일 부산항국제여객선협의회에 따르면 일본 여행 보이콧에 이어 코로나19사태가 1년 이상 지속하면서 한·일 항로 여객선 승객은 발길이 완전히 끊겼다.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배편으로 일본 대마도(쓰시마) 후쿠오카 오사카 시모노세키 등지를 오간 승객은 2018년 기준 연간 142만6000여명에 달했으나,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지난해 4월 이후 현재까지 여객 운송 실적은 ‘0명’으로 추락했다.
이 때문에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을 이용하는 9개 선사 가운데 2개사가 매각 또는 폐업을 했고, 나머지 7개 선사(고속여객선 4곳, 카페리 여객선 3곳)도 경영 한계에 봉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부산~대마도 구간을 운항 중이던 A선사는 지난해 폐업했고, 같은 구간을 운항하던 B선사의 선박은 경매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남아 있는 대아고속해운 등 4개 선사도 지난해 3월부터 현재까지 휴항이 이어지면서 직원 대부분을 구조조정하거나 무급휴직으로 버티고 있다.
부관훼리, 팬스타라인닷컴, 고려훼리 등 카페리 여객선 3곳은 화물만 실어나르며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국제여객선사가 줄도산 위기에 놓였으나 정부 지원은 부산항만공사의 임대료와 선박 접·이안 비용 등에 그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협의회 측은 토로한다.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지원도 외항 화물 선사에 집중하면서, 국제여객선사는 소외되고 있다.
부산항국제여객선협의회 관계자는 “정부의 코로나19 피해 기업을 위한 자금 지원도 국제여객선사에는 까다로운 조건이라 실질적인 지원을 받기는 어렵다”면서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외항 화물 선사처럼 국제여객선을 매입해 다시 빌려주는 방식(S&LB)이나 선박 후순위 담보 투자, 장기 저리 운영자금 지원 등 실질적인 지원 대책 마련을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